고기는 고기에서 고기다.13 6.<돼지고기>삼겹살만 있나? 여기도 돼지고기 있소! 하편 상편에 이어 삼겹살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 대해 글을 쓰도록 하겠다. 돼지고기도 구이류의 종류가 다양하게 있는데 일전에 언급하였던 목살,가브리 갈매기,항정 말고도 특수부위, 혹은 뒷고기라 하여 매우 저렴하게 유통되는 부위들이 있다. 심지어는 도래창이라 하여 내장 기관을 구워 먹기도 한다. 또 돼지의 지라,유통,껍데기 돼지 꼬리도 먹는다. 엄청나게 맛있기보단 값도 저렴하여 양껏 먹을 수 있다 보니 선호도가 높다고 보긴 어렵고 이색적인 경험 정도로 여겨진다. 성남의 모란시장에 가면 8000원에 무한으로 나오는 내장 구이집이 있는데 삼겹살과 이것 중 고르라면 대부분 당연히 삼겹살이겠지만 가벼운 마음으로 가서 맛있는 술안주로 먹어보아도 좋다. 뉴트로 트렌드로 유튜브에 자주 소개되어 젊은 연령층의 손님이 늘어났다 .. 2024. 2. 1. 5.<돼지고기>삼겹살만 있나? 여기도 돼지고기 있소! 상편 삼겹살이 돼지의 대표적인 부위이지만 삼겹살 하나 먹자고 돼지를 잡지는 않는다. 정육업계에 들어와 2년쯤 일하다가 '돼지고기는 정말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두 먹을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대표적인 구이류 부위도 분명 존재하지만 최근 트렌드를 보면 비구이류 였던 부위도 조리법을 개발하여 새로운 맛과 식감을 끌어내는 식당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전부터 그러한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예전보다 수요가 확실히 늘어나니 시장이 좀 더 활성화되는 느낌이다. 대표적인 구이류 부위는 5가지 정도 얘기하는데 삼겹살,목살,갈매기,가브리 항정살이고 여기에 한 가지를 더 추가하자면 미삼 즉 오겹살을 추가로 6개까지 꼽을 수 있으며 조금 더 확장하자면 갈비와 앞다릿살을 추가로 넣을 수 있겠다. 돼지갈비야 삼겹살만.. 2024. 1. 31. 4.<돼지고기>삼겹살, 롱 리브 더 킹! 돼지고기 중에서도 감히 삼겹살을 왕이라 칭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어떻게든 조금 더 맛있게 먹기위해 연구해온 지난 시간과 자료들이 매우 넘치기 때문이다. 맛을 끌어내기위해 과거 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고민해온 결과물들이 여전히 우리의 입맛을 즐겁게 해주고있다. 한때는 가장 서민적인 외식문화였다가 어느날은 우리들의 주머니 사정을 봐주지 않고 인정사정없이 멀리 떠나가기도 했던 삼겹살의 남은 이야기들을 풀어보겠다. - 소스, 화려한 옷을 입히듯 맛에 맛을 더하다 - 삼겹살을 먹을때 가장 쉽게 떠올리는 소스는 아무래도 가장흔한 된장,고추장,이다. 쌈장도 있지만 쌈장이란 개념은 상추와 깻잎을 같이 싸먹기 시작하면서 고추장보단 덜 맵고 된장보단 더 간이 되어있는 소스를 만들다보니 두가지를 2:1로 섞어 탄생되.. 2024. 1. 29. 3.<돼지고기>대한민국 소울푸드 삼겹살, 변화의 기록들 오늘도 삼겹살에 관한 연작으로 시작하려 한다. 돼지고기를 주제로 글을 쓰다 보면 쉽게 넘어가기가 어려울 만큼 한국인인 필자도 그 매력에 쉽게 넘기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전 글에 언급했듯 삼겹살의 역사는 짧지만 단기간 내에 다양한 모습으로 진화했다. - 친근한 만큼 매우 쉽게 접했던 불판 - 한국에서 이제 막 돼지고기를 구워 먹기 위해 시작할 때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었던 불판은 '솥뚜껑'이었다. 한국의 음식 문화는 솥으로 시작하는 것에서 솥으로 모든 마무리를 한다. 무쇠솥에서 밥을 짓기도 하고 물을 끓여서 각종 익힘 요리에 사용한다. 그리고 무쇠 뚜껑은 손잡이가 있는 부분을 뒤집어서 기름칠하고 전을 부치거나 음식을 익히는 데 사용하였다. 쉽게 녹이 슬거나 칠이 벗겨지지도 않고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 많은.. 2024. 1. 28. 2.<돼지고기> 끝나지 않는 한국인의 지독한 사랑, 삼겹살 필자는 선구자들에게 늘 존경심을 갖는다. 복어 독의 무서움을 모르고 복어를 먹어본 분이나, 우유를 발효하여 나는 그 냄새를 이기고 치즈를 만들어 먹으려 했던 분 등 선구자들의 '탐미'에 대한 자세는 늘 존경받아 마땅하다. 그리고 이전 글에 썼듯이 그 돼지잡내가 나는 재래 돼지를 먹기 위해 각종 향신료와 된장, 야채를 넣어 삶아 먹고, 양념하고, 쪄먹었던 자세는 비록 살기 위해 먹었을 거라 생각하지만 존경받아 마땅하다. 1970~80년 가스버너의 탄생과 대중화, 부탄가스, 프로판가스의 보급, 양돈 기술의 발전과 정부의 수출금지 정책 이 모든 것들이 아귀가 딱딱 맞아떨어지며 10년 뒤인 1990년 삼겹살의 황금기를 이끌게 된다. 비록 이 부분에서 여러 전문가분과 전문가가 듯한 분들의 의견에 따라 일본의 수출.. 2024. 1. 26. 1.<돼지고기>대한민국의 육식, 눈부신 현재 진행형 '돼지':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자연의 섭리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이들에게 더 큰 기회를 준다. 육식동물과 잡식동물들은 작고 약한 동물들을 잡아먹으며 생존하는 법을 배웠다. 그 과정에서 사냥하는 인간은 자신의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작은 쥐나 토끼를 잡거나, 여럿이 모여 더 큰 동물을 사냥하는 것을 배웠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인간은 더 쉽고 효율적인 방법을 찾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가축사육'이다. 이 중에서도 개와 돼지는 가축사육의 대표적인 예이다. 한국 및 아시아 일대의 신석기 중기부터 유적에서 집돼지 뼈들이 발견되었고, 이를 통해 돼지사육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돼지가 가축으로서 인기를 끈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다. 돼지는 몸집이 크지 않아 주택을 만드는 데 큰 어려움이 없.. 2024. 1. 25. 이전 1 2 3 다음